티스토리 뷰

반응형

SMDP (Studio of Metropolitan Design Partnership) 상세 리포트

1. 회사 개요

  • 설립 연도: 2011년.
  • 본사 위치: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30 W. Monroe Suite 500.
  • 회사 규모: 직원 수 11~50명.
  • 기업 형태: 사기업(Privately Held).
  • 산업 분야: 건축 및 도시 설계.
  • 웹사이트www.smdpstudio.com.

SMDP는 현대 건축 및 도시 설계 문제에 대한 혁신적이고 독창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디자인 스튜디오입니다. 이들은 각 프로젝트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설계 접근 방식을 통해 독창적이고 지역 사회에 가치를 더하는 디자인을 창출합니다.

2. 회사 연혁

  • 2011년: SMDP 설립.
  • 2015년 이후: 한국 및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 고급 주거 및 상업 프로젝트 다수 수행.
  • 2020년대: 지속적으로 글로벌 프로젝트를 확장하며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설계 프로젝트 수행.

3. 글로벌 주요 프로젝트

SMDP는 다양한 국가에서 주요 건축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쌓아왔습니다.

  • 한국:
    •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성수동 최고급 주거 단지.
    • 래미안 원베일리: 반포 지역 고급 주거 단지 설계.
    • 청담 스퀘어: 프리미엄 상업 및 주거 복합 단지.
  • 미국:
    • Eskenazi Health Ambulatory Care Building: 헬스케어 시설 설계.
    • Indianapolis Zoo Bicentennial Pavilion: 공공 공간 디자인.
  • 중국:
    • Wuhan International New City: 대규모 도시 개발 프로젝트.

4. 수상 내역

Bottleworks District, ULI 글로벌 우수상 수상 /사진: 수잔 플렉

SMDP는 독창적인 설계와 혁신적인 접근법으로 여러 건축 관련 상을 수상했습니다. 주요 프로젝트들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Bottleworks District, ULI 글로벌 우수상 수상 : 링크연결

보틀웍스 지구는 아르 데코 걸작을 도시와 다시 연결하고 12에이커 규모의 코카콜라 병입 공장을 활성화한 점에서 두드러집니다.

RATIO Design은 오늘 Bottleworks District가 2024 Urban Land Institute(ULI) 글로벌 우수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

이 상은 프로젝트와 RATIO에 흥미진진하고 영향력 있는 이정표를 나타내며, 첫 번째 ULI 글로벌 상을 수상했습니다. Bottleworks District는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109개 제출물 중에서 선정된 전 세계 7개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Bottleworks District는 인디애나폴리스에 있는 역사적인 코카콜라 병입 공장을 활기찬 요리, 예술, 엔터테인먼트 허브로 재구상한 12에이커 규모의 복합 용도 개발입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푸드홀, 부티크 호텔, 소매점, 사무실 공간이 포함되며 향후 단계에는 추가 소매점, 사무실, 주거 구성 요소가 포함될 예정입니다.

원래는 1930-1931년에 Yuncker 형제가 건설했고 유명한 건축 회사인 Rubush & Hunter가 설계하고 건설했습니다. 1950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큰 병입 공장으로 성장하여 분당 240개의 코카콜라 병 또는 주당 220만 개 이상의 병을 생산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50년 동안 이 공장은 대중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었습니다. Hendricks Commercial Properties 와 RATIO는 이 상징적인 부지를 주변 지역과 다시 연결하고 도시의 미래를 이끄는 원동력으로 재구상하려는 비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ULI Global Awards for Excellence는 높은 수준의 설계, 건설 및 경제적 실행 가능성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강조합니다. ULI의 수상 경력에 빛나는 프로젝트 편집 비디오를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

 

5. 주요 설계사

  • 스캇 사버(Scott Sarver):
    • SMDP의 대표이자 창립자로, 인간 중심의 설계 철학과 혁신적인 접근법을 통해 다양한 랜드마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 협력 디자이너:
    • 각 지역의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기 위해 현지 디자이너 및 전문가들과 협력.

6. 회사 철학 및 접근 방식

  • SMDP는 각 프로젝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철학을 바탕으로 작업합니다:
    • 발견 과정: 각 지역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기회를 분석하여 독창적이고 맞춤형 솔루션 제공.
    • 지역 특화 설계: 장소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디자인을 통해 지역 사회와 조화를 이루는 공간 창출.
    • 커뮤니티 가치 증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닌 지역 커뮤니티에 가치를 더하는 공간 설계.

SMDP는 비교적 소규모의 디자인 스튜디오지만, 독창성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건축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고급 주거 및 상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스캇 사버(Scott Sarver) 프로필 및 주요 활동

SMDP설계사무소 스콧 사버 디자인 수석 겸 최고경영자(CEO)가 한국에서 진행 중인 설계 프로젝트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1. 기본 정보

  • 이름: 스캇 사버 (Scott Sarver)
  • 직책: SMDP(Sarver McLaughlin Design Planning) 대표이사 겸 수석 디자이너.
  • 출생연도: 1961년 (현재 64세).
  • 국적: 미국.
  • 전문 분야: 건축 설계 및 도시 계획.

2. 경력 및 회사 설립

  • 스캇 사버는 건축 설계 분야에서 3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전문가로, 국제적인 랜드마크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했습니다.
  •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 설계를 통해 한국 시장과 인연을 맺었으며, 이후 SMDP를 설립하여 글로벌 건축 디자인 그룹으로 성장시켰습니다.

한국인터뷰

3. 주요 프로젝트

스캇 사버는 다양한 국가에서 고급 주거 및 상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국내 주요 프로젝트:

  •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성수동 최고급 주거 단지.
  • 래미안 원베일리: 반포 지역 고급 아파트 단지 설계.
  • 송도자이 크리스탈오션: 서해의 물결을 형상화한 외관 디자인.
  • 도곡동 타워팰리스 3차: 초고층 주거 단지.
  • 서울중앙우체국: 랜드마크 공공 건축물.

해외 주요 프로젝트:

  • 포덤 스파이어(Chicago Fordham Spire): 시카고의 랜드마크 건축물.

베트남 다낭 시청: 도시 중심부 랜드마크 설계.

4. 철학 및 디자인 접근

스캇 사버는 인간 중심의 설계 철학을 바탕으로, 지역적 특색과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합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고수합니다:

  • 경험적 가치 강조: 건축물은 금전적 가치뿐만 아니라 거주자의 경험적 가치를 높이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조망의 질(quality): 단순히 경치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조망의 질을 극대화하는 디자인을 추구합니다.
  • 지역 문화 반영: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담아내는 설계를 통해 독창성과 조화를 구현합니다.

5. 수상 내역

스캇 사버는 SMDP를 통해 여러 국제적인 건축상을 수상하며 명성을 쌓았습니다. 구체적인 수상 내역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주요 프로젝트들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6. 최근 활동

스캇 사버는 최근 평택에 위치한 경기도 최초 5성급 호텔인 인터컨티넨탈 평택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자연과 함께하는 공간 창조라는 콘셉트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2025년 완공 예정입니다.


스캇 사버는 규모는 크지 않지만 독창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글로벌 건축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인물입니다. 특히 한국 시장에서 고급 주거 및 상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삼성물산 등 국내 대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했습니다. 그의 인간 중심 설계 철학은 현대 건축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삼성물산이 미국 설계사 SMDP와 협력한 이유

1. 고급화 전략

  • 반포 지역의 상징성: 삼성물산은 반포를 서울의 대표적인 고급 주거 지역으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설계를 제공할 수 있는 파트너가 필요했습니다. SMDP는 이전에 한남3구역 등에서 고급화 전략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경험이 있으며, 이 점이 협력의 중요한 이유로 작용했습니다
  • 특화 설계: SMDP는 한강 조망 극대화와 스카이 브릿지 등 독창적인 설계를 통해 단지의 차별성을 강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삼성물산이 조합원들에게 제안한 '특화 설계'와 부합합니다

2. 글로벌 경험과 신뢰

  • 국제적 프로젝트 경험: SMDP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고급 주거 및 상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내에서의 성공 사례(나인원 한남,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등)는 삼성물산이 SMDP를 신뢰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 래미안 원베일리 협업 성공: 삼성물산과 SMDP는 이미 반포 지역의 '래미안 원베일리' 프로젝트에서 협력하며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한 바 있습니다. 이 경험은 신반포4차 재건축에서도 협업을 이어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독창적인 디자인 철학

  •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설계 접근: SMDP는 단순히 건축물을 짓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적 특성과 조화를 이루며 독창성을 강조하는 설계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래미안 헤리븐 반포와 같은 랜드마크 단지 조성에 적합한 방향성이었습니다.
  • 세계적 디자이너와 협업 가능성: SMDP는 삼성물산과 함께 Ron Arad(론 아라드), Nicola Galizia(니콜라 갈리지아) 등 세계적인 디자이너들과 협업하여 단지의 예술성과 고급스러움을 극대화할 수 있었습니다

4. 경쟁력 확보

  • 수주 경쟁에서 우위 확보: 정비업계에서는 SMDP의 설계가 현대건설이 한남3구역 수주에 성공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합니다. 삼성물산은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여 반포 신반포4차 재건축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SMDP와 손잡았습니다.
  • 조합원 설득: 조합원들에게 독창적이고 고급스러운 설계를 제안함으로써 신뢰를 얻고 수주 과정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려는 전략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결론

SMDP는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고급 주거 단지 설계에서 독창성과 전문성을 보유한 회사입니다. 삼성물산은 이들의 혁신적인 설계 능력과 한국 내 성공 사례를 활용해 반포 지역에서 차별화된 랜드마크 단지를 조성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건축물이 아닌 지역의 상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